사진

극락조화

U블럭 2017. 2. 18. 08:26


天堂鸟花/鹤望兰
신비(神祕) 영생불락(永生不落)
2015-11-08_124535
극락조는 
남태평양 파푸아뉴기니와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는 새라고 알려져 있다. 
이 새는 불교와도 인연이 닿아 있다. 
산스크리트어로 칼라빈카(Kalavinka)라 부르는데, 
아미타경이나 정토만다라 등의 불경에서는 상상의 새로 그려진다. 
여기에는 극락정토의 설산(雪山)에 살며, 머리와 상반신은 사람의 모양이고, 
하반신과 날개, 발과 꼬리는 새의 모습을 하고 있다고 적혀 있다. 
우리나라의 '관음도'와 같은 불화에도 극락조를 볼 수 있다.
2015-11-08_124703
극락조에 얽힌 전설이 흥미롭다. 
옛날 남태평양 외딴 섬에 왕후 귀족들의 연회장에서 독사와 새들의 결투가 벌어졌다. 
맞붙어 싸운 것은 아니다. 
새가 노래를 잘 하면 독사는 그 노래를 듣다가 잠에 빠져 패하게 되고, 
조금이라도 음성 박자가 흐트러지면 독사가 새의 목을 물어 뜯는 시합이었다. 
이 슬픈 결투에서 마지막까지 살아 남은 새는 바로 극락조였다. 
극락조의 수컷은 새끼가 태어나면 스스로 새 생명의 먹이가 된다. 
그 새끼는 또 다시 아비의 노래를 기억하며 유전자에 남겨진 사랑의 노래를 부른다.
2015-11-08_121030
봄날의 새색시를 닮은 희망꽃
극락조화는 남아프리카가 고향이다. 
꽃은 초여름부터 피기 시작한다. 
파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집에서 키우는 경우도 있다. 
'영구불변'(永久不變)의 의미도 있어 
고달픈 인생살이에 지쳐 있는 사람들에게 희망의 꽃이 되기도 한다. 
2015-11-08_121621
꽃모양이 마치 새가 날개를 펴고 있는 모양 같다. 
극락조가 날아왔다면 이처럼 아름답게 앉아 있었을까? 
길쑥한 꽃줄기 끝에 달린 화포는 영락없이 새부리이다. 
한눈 팔다가는 새부리에 찔릴 수도 있겠다. 
2015-11-08_121754
보면 볼수록 새와 닮은 모습이 신기하고도 하고 
화려한 색상이나 생김새가 봄날의 새색시를 닮았다. 
그런데 꽃말은 '사랑을 위해 멋을 부린 남자'라고 한다. 
남자도 사랑을 하면 이처럼 멋쟁이가 될까? 
황홀한 자태에 취해 다리가 풀리는 사람이 어디 여성뿐이랴.
2015-11-08_121903
극락조라는 새를 닮아서 
극락조화라 불리게 되었습니다
꽃의 모양이 화려하고
멋쟁이 모습이풍기는 꽃이
꽃말에서도 신비, 영구불면
멋을부리는 남자의애칭을 사용하고 있는 꽃으로
줄기는 잎과
비슷한 높이로 자라고
포안에서 5~6개의 꽃이 
부채꼴인 선상 꽃 차례로 핀다
2015-11-08_120528
극락조화를 바라보면서 즐거운 상상을 한다. 
허둥대던 하루가 잠시 멈추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오늘은 어디든 떠나고 싶다. 
극락조가 사는 파라다이스 언덕은 아니겠지만, 
따뜻하게 살아가는 세상 속으로 다가가 얼굴을 비비고 싶다. 
2015-11-08_120814
2015-11-08_122056
2015-11-08_122706
2015-11-08_122912